본문 바로가기
CS/클라우드(AWS)

[백엔드] 클라우드

by Hoozy 2023. 4. 5.

이전 게시글 가상화 / 컨테이너화

https://hoozy.tistory.com/entry/%EB%B0%B1%EC%97%94%EB%93%9C-%EA%B0%80%EC%83%81%ED%99%94-%EC%BB%A8%ED%85%8C%EC%9D%B4%EB%84%88%ED%99%94

클라우드란
  • 데이터를 보관, 정리, 분석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빠르게 추진할 수 있도록 각종 인프라와 IT 기술을 빌려주는 서비스이다.
  •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서 접속이 가능한 환경.
  • 클라우드의 3가지 형태
    1. 퍼블릭 클라우드
      • 인프라 전체를 클라우드에서 받음
      • 기업 입장에서, 인프라 구축에 비용을 투자하지 않아도 되고 인프라 관리 인력도 최소화 할 수 있음
    2.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IT기술은 클라우드에서 받지만, 서비스 유지를 위한 인프라를 클라우드와 기업의 것을 혼용
      • 클라우드에 기업의 핵심 데이터를 보관하길 꺼리는 기업이 활용
      • 데이터는 기업의 인프라에 직접 보관, 서비스 운용은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진행
    3. 프라이빗 클라우드
      • 기업이 직접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축한 후, 이를 계열사와 고객에게만 제공
      • 대규모 기업 집단이나 정부 등을 중심으로 선호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IaaS, PaaS, SaaS)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의 약자로, 서비스로 제공되는 인프라스트럭쳐이다.
  • 확장성이 높고 자동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 EX) Amazon Web Service(AWS), Microsoft Azure, DigitalOcean, Google Compute Engine(GCE)

PaaS

  • Platform as a Service의 약자로, 서비스로 제공되는 플랫폼이다.
  • 주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필요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 EX) AWS Elastic Beanstalk, Windows Azure, Heroku, Google App Engine

SaaS

  • Software as a Service의 약자로, 서비스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 타사 공급 업체가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한다.
  • 대부분의 SaaS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직접 실행되므로 클라이언트 측에서 다운로드나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
  • EX) Google Apps, Dropbox, Salesforce, WhaTap
제공되는 서비스

IaaS : 물리적 자원 제공

  • 고객에게 서버, 네트워크, OS,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가상화된 물리적인 자산을 UI 형태의 대시보드 또는 API로 제공한다. 고객들은 서버와 스토리지를 접근할 수 있지만 사실상 클라우드에 있는 가상 데이터 센터를 통해 리소스를 전달받는 형태이다.
  • 기존의 데이터센터에서 제공받던 물리적인 자산을 완벽하게 가상화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서버 사양의 변경 등 물리적 자산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방식에 비해 훨씬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 IaaS 제공 업체는 서버,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킹, 가상화 및 스토리지를 관리하며 고객은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와 같은 자원들을 관리해야 한다.

PaaS : 소프트웨어 개발을 돕는 플랫폼 제공

  • 고객에게 OS, 미들웨어, 런타임과 같은 소프트웨어 작성을 위한 플랫폼을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이 가상화된 플랫폼은 웹을 통해 제공되며 개발자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저장소 또는 인프라에 대한 관리없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 PaaS를 사용하면 기업에서는 특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PaaS에 내장된 응용 프로스램을 설계하고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미들웨어는 특정 클라우드 특성을 채택할 때 확장 가능하고 가용성이 높다.

SaaS : 고객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제공

  • SaaS는 고객을 대신하여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제공하고 관리한다. 패키지 또는 On-premise 방식인 기존의 소프트웨어 전달 방식과 다르게 SaaS는 개별 컴퓨터에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필요가 없다. SaaS를 통해 서비스를 공급하는 업체는 데이터, 미들웨어, 서버 및 스토리지와 같은 모든 잠재적인 기술적 문제를 관리하기 때문에 고객은 유지 보수 및 자원을 간소화하면서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과 단점

IaaS 장점

  • 비용 : 물리적 자원을 서버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고정비가 들지 않는다.
  • 속도 : 물리적 자원을 즉시 소비할 수 있다.
  • 관리
    • 물리적 자원에 대한 관리를 논리적인 영역으로 대체할 수 있다.
    • 물리적 자원에 대한 자동화된 배포가 가능하다.
    • 물리적 자원에 대한 안정적인 운영을 벤더에 맡길 수 있다.
    • 물리적 자원에 대한 규모의 확장 또는 축소가 자유롭다.

PaaS 장점

  • 비용 : 필요한 플랫폼만 소비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다.
  • 속도 : 개발 및 배포 프로세스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
  • 관리
    • 소프트웨어 유지 관리가 쉬워진다.
    •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비즈니스가 변함에 따라 리소스를 쉽게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 응용 프로그램 개발, 테스트 및 배포를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수많은 사용자가 동일한 개발 응용 프로그램에 액세스 할 수 있다.

PaaS 단점

  • 특정 플랫폼 서비스에 종속될 수 있다.

SaaS 장점

  • 비용 : 소프트웨어를 소비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다.
  • 속도 : 즉시 사용이 가능하다.
  • 관리
    •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물리적 자원이 필요하지 않다.
    • 언제 어디서든 접근 가능하다.

SaaS 단점

  • 커스터마이징이 어렵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언제 적용할까

IaaS : 빠른 변화를 원한다면

  • 스타트업이나 종소기업에게 IaaS는 훌륭한 옵션이므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데 시간과 돈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 IaaS는 응용프로그램과 인프라를 완벽하게 제어하고자하는 대규모 조직에 유용하지만 실제로 소비되거나 필요로하는 것을 구매하려는 경우에만 유용하다.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의 경우, IaaS는 요구 사항이 변화하고 발전함에 따라 특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전념할 필요가 없으므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많은 유연성이 있으므로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에 어떤 요구가 필요한지 확실하지 않은 경우 도움이 된다.

PaaS : 신속한 개발을 원한다면

  • PaaS를 이용하는 것이 유익하거나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다. 동일한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여러 개발자가 있거나 다른 공급 업체도 포함해야하는 경우 PaaS는 전체 프로세스에 뛰어난 속도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PaaS는 사용자 정의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려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또한 이 클라우드 서비스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앱을 신속하게 개발하거나 배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몇 가지 문제를 단순화할 수 있다.

SaaS : 비즈니스에 집중하고 싶다면

  • 보안상 민감한 사항이 아니라면 모든 기업에게 SaaS는 훌륭한 옵션이다. 또한 협업이 필요한 단기 프로젝트라면 SaaS를 도입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On-premise 솔루션은 모바일 액세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액세스가 필요한 경우에도 SaaS를 사용하면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다음 게시글 AWS

https://hoozy.tistory.com/entry/%EB%B0%B1%EC%97%94%EB%93%9C-AWS

 

[백엔드] AWS

이전 게시글 클라우드 https://hoozy.tistory.com/entry/%EB%B0%B1%EC%97%94%EB%93%9C-%ED%81%B4%EB%9D%BC%EC%9A%B0%EB%93%9C 카테고리 : AWS AWS Amazonn Web Service의 약자로, 서버, 네트워크 등 인프라 전체를 빌려주는 서비스이

hoozy.tistory.com

참고 자료

https://seaforest76.tistory.com/13
https://www.whatap.io/ko/blog/9/

'CS > 클라우드(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아마존 리눅스 2 (리눅스) 명령어 및 팁 정리  (0) 2023.04.17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0) 2023.04.16
[백엔드] AWS  (0) 2023.04.08

댓글